print this page
2009.12.28 12:57

새해 인사와 세배

조회 수 21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새해 인사와 세배





새해가 되면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란 말로 인사를 주고 받습니다.


하지만 복이 어디서 오는지- 해가 주는 것도 아니고 출처가 불분명합니다.





결국 행운을 빈다는 말과 별 차이가 없답니다.  무언가 부족하고 불확실한 표현이임에도 복이란 말이 들어간 탓에 듣기 좋아합니다.




이런 애매한 표현에 매이지 않기 위해 제가 일찍부터 개발한 말이 있답니다.





"새해 하나님의 복 많이 받으세요."  좀 낫지요.





그런데 이 말도 완전하지 못한 것 같답니다.  복은 결국 하나님이 주시는 거니까요. 덕담은 기분만 좋을 뿐 꼭 복이 온다는 보장이 없답니다.





"새해 하나님께서 복많이 주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사람이 원한다고 해서 하나님이 무조건 복주실 리도 없고~


차라리 시편 1편을 묵상하면서 하나님 마음에 드는 태도를 갖는게 복받는 지름길이 아닐까요. 정말 복받을 자라면 하나님께서 알아서 복주실테니까요.




중요한 포인트는 불신자는 하나님의 복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사실입니다. 이런 자들에게는 "새해 예수믿고 하나님으로부터 복많이 받으세요" 하는게 더 현실적인 것 같답니다. 전도도 할 겸~






저희 집에서는 세배란 제도를 처음부터 두지 않고 있답니다. 절을 받는 기분이 그럴싸해 보이지만 유혹(?)을 떨치고 안 받기로 했답니다.




사람에게 절하지 않겠다고 버텼던 모르드게처럼~ 절을 요구하지도 않고 누구에게 하지도 않는 문화~ 이러다보면 조상 제사도 사라지지 않을까요~




세상에서 절 받던 기분(?)을 죽어서도 누려보겠다 생각- 음식 대접에 대한 기대 심리가 결국 죽을 때까지 교회를 안 나오게 되는 원인인 될 수도 있을 듯-




절이란 최대의 복종과 경의를 표현하는 것이라 생각되어 저는 오십이 넘도록 누구에게도 세배를 안 받는답니다. 아이들에게 강요하지도 않고~


꼭 세배할 마음이 있으면 하나님께~ 세뱃돈 대신 용돈으로 주면 됩니다. 




그럼 여러분 모두 새해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복 많이 받으세요."









 

  1. [re] 반갑네요- 새해 문안 드립니다.

    Date2010.01.02 By이재섭 Views2024
    Read More
  2. 아듀(Adieu) 2009!

    Date2009.12.28 By강진구 Views2153
    Read More
  3. 새해 인사와 세배

    Date2009.12.28 By이재섭 Views2174
    Read More
  4. 벽창호

    Date2009.12.15 By강진구 Views2844
    Read More
  5. In Put 과 Out Put

    Date2009.12.08 By강진구 Views2652
    Read More
  6. Thanks 와 Think

    Date2009.12.05 By강진구 Views2693
    Read More
  7. 안녕하셨어요?오랫만입니다

    Date2009.11.29 By고영숙 Views2139
    Read More
  8. [re] 샬롬 집사님- 오랫만입니다

    Date2009.11.30 By이재섭 Views2267
    Read More
  9. 패러다임 쉬프트(Paradigm Shift)

    Date2009.11.25 By강진구 Views2632
    Read More
  10. 냉기(Chilly energy)

    Date2009.11.16 By강진구 Views2422
    Read More
  11. 바늘구멍을 통과한 사람들

    Date2009.11.12 By강진구 Views2399
    Read More
  12. Happy Halloween?

    Date2009.11.03 By강진구 Views2723
    Read More
  13. 말세에 믿음을 보겠느냐?

    Date2009.10.27 By강진구 Views3450
    Read More
  14. 언약(Shindike)과 유언(Diadeke)

    Date2009.10.19 By강진구 Views2551
    Read More
  15. 길을 만든는 사람들

    Date2009.10.12 By강진구 Views2518
    Read More
  16. 기다림의 미학

    Date2009.10.10 By강진구 Views2463
    Read More
  17. 명절의 의미

    Date2009.10.04 By강진구 Views2575
    Read More
  18. 크레딧(Credit) 유감

    Date2009.09.23 By강진구 Views2581
    Read More
  19. 의미 상실의 시대

    Date2009.09.20 By강진구 Views2743
    Read More
  20. 사람을 찾습니다.

    Date2009.09.19 By강진구 Views268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 18 Next
/ 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