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this page
조회 수 429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사"란 인간이 신에게 대한 존경과 복종을 나타내는 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말하는 "제사"라는 단어는, 이처럼 폭넓은 뜻을 가진 것은 아니고, 조상에게 드리는 제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자. 즉, 유교적 전통에서 온 명절의 차례의식, 성묘 시의 제례의식, 조상의 돌아가신 날을 기념하여 드리는 기제의식을 포괄하는 것을 "제사"라고 해 두자.

전통적으로 한국 교회의 경우, 개신교에서는 이러한 조상 제사 의식을 일단 "우상숭배행위"로 보고 교리상으로 이를 금지하고 있다. 한편 천주교의 경우는, 선교 초기에는 개신교와 마찬가지 이유에서 금지하였으나, 도중에 교황칙령에 의해 허용하는 것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허용"이지 권장은 아니다. 천주교의 입장에서도 가급적이면 제사의 형식보다는 가족미사의 형식으로 기념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개신교에서도 기제일을 기념하거나 가족들이 이를 계기로 모이는 것은 미풍양속이므로, 다만 제사의 형식을 취하지 말고 기념예배("추도예배"라고 함)를 드릴 것을 권장하고 있다.

명절이나 기제일을 계기로 대가족 단위의 가족 화합이 이루어지고, 사촌, 육촌 간의 만남과 우애가 있는 것은 참으로 바람직한 일이다. 특히 기제일이라면 조상님께 대한 추모의 정과, 혹시 그 분이 남기신 가훈 등이 있다면 이를 되새기면서 가족간에 대화를 나누거나 간단한 레크리에이션 등을 통해 화합을 도모하는 것도 아주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니 이러한 모임에는 반드시 음식도 있어야 할 것이다. 시절에 맞는 과일이나 간식거리, 또는 별미 등을 만들어서 온 가족이 둘러앉아 담소와 함께 식사를 하는 것도 아주 좋은 일이다. 그런데 음식을 만들어서 우리끼리만 먹자니까 조상님께 좀 미안한 생각도 들고, 그래서 "조상님께서도 좀 잡수시지요."하고 차려 놓는 것이 차례상이고, 기왕 차려 놓았으니 흠향하시는 조상님께 절도 하고 축문도 올리는 것이 제사이다.

사실 기독교만큼 가족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신성시하는 종교도 없다. 그러므로 위의 논리에서 상당 부분까지는 적극적으로 동의한다. 문제는, '우리끼리만 먹자니까 미안한 생각이 드는 것'부터이다. 여기에서 분명히 선을 그어야만 한다.

음식을 차려놓고 절을 하거나 축문을 낭독하는 것은 분명히 어떤 신적인 존재를 대상으로 한다. 천주교의 해석처럼 "단지 조상에 대한 흠모의 정을 표현하기 위해서"라면, 음식을 차리지 않고 그분의 뜻을 되새기거나 부모님을 통해 그분이 살아계실 때 남기신 업적이나 가르침을 전해 듣는 것으로 충분하며, 훨씬 의미 있는 일이다. 제사의 의식을 갖는 순간, 조상은 흠모의 대상이 아니며, 경배와 신앙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나 외에 다른 신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고 명령하셨다. 이 말씀은 사실 신적인 존재가 하나님 외에도, 하나님을 대적하려고 하는 세력이 있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그리고 창세 이후로 그 세력은 인간을 창조주 하나님의 은혜와 보호로부터 멀어지게 하려고 획책하고 있으며, 성경은 이를 "사탄"이라고 부른다. 실제로 첫 사람 아담이 하나님의 말씀보다 사탄의 꾀임을 더 신뢰하므로, 낙원을 잃게 되고 말았던 것이다.

사탄은 인간을 꾀어내기 위해서, 여러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신의 흉내"를 내고 있다. 태양신, 옥황상제, 토템, 샤마니즘, 단군 설화에 이르기까지... 그래서 인간들이 하나님보다는 자신에게 따르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이러한 꾀임에 넘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나 외에 다른 신을 네게 있게 말라"고 하셨으며, "너를 위해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라"고 하신 것이다. 즉, 인간은 오직 하나님만 섬겨야 하며, 그 분의 뜻에 따라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단군신전 건립 반대 의견에 대해 말이 많은데, 이것을 우리가 반대하는 이유는 "국가 기관에 일반 국민의 공적인 세금 제원을 들여서 건립하는 것"을 반대하는 것이지, 일부 단군을 교주로 섬기는 종교에서 자신들의 재정으로 세우는 것이야 종교의 자유가 아니겠는가!

동의하기 힘들겠지만, 설사 우리가 조상에게 차례상을 차려놓고 절을 하여도, 그 음식을 흠향하고 경배를 받는 것은 실제 조상의 영이 아니다. 조상의 영은 이미 그들의 살아 있을 때 믿음에 따라 천국이나 지옥(천주교에서는 연옥을 주장하기도 함)에 가 있는 것이며, 거기에서 이곳으로 돌아올 수는 없다. 그 시절에는 복음을 듣지도 못했는데 예수를 안믿었다고 해서 지옥으로 갔다는 것은 너무 억울하다고 생각하는 효심어린 후손들이 있어도, 과연 그 분들이 어떤 형식으로 구원을 받았는지 아닌지, 알 수 없다.

우리도 머지않아 그곳에 가면 그 때 확실히 알게 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오늘날 예수님의 복음을 들을 기회가 충분한 우리가 당연히 예수님을 믿어야 구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며, 설사 당신은 기회를 놓쳤기 때문에 지옥에 가 있더라도 바로 그 조상들이 원하는 것이 우리라도 구원 받아서 '이 고통받는 곳에 오지 않게 하는 것'이다.(누가복음 19장 참고)

그러므로 이 문제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명절이나 조상의 기제일을 기념하여 가족이 모이는 것은 좋은 일이다.
모인 가족끼리 절기에 맞는 과일이나 별미를 준비하여 애찬을 나누고 담소하는 것도 가족간 화합과 우애를 위해 아주 좋은 풍습이다.

다만, 조상에 대해 차례상을 차리거나 절하거나 축문을 올리는 것은 우상숭배행위에 해당한다.
조상의 뜻을 기리고, 그 분의 살아계실 때 업적이나 남기신 가훈, 가통을 잇는 것은 현재 살아계신 부모님이나 웃어른과의 뜻깊은 대화의 시간을 갖는 것이 형식적인 제사보다 백번 낫다.

가족이 한 마음으로 모일 수 있도록 건강과 화목의 은사를 허락하신 하나님께 감사의 예배를 드린다면 금상첨화이다.(음식은 차려 놓지 말고 예배가 끝난 후에 함께 둘러앉아 나누어 먹는다.)

아직 살아계신 부모님의 생신을 당하여는, 나중에 제사로 드릴 음식까지 가불(?)해서 성찬으로 대접해 드리고, 건강하게 잘 길러 주신 은혜에 감사한 마음으로 큰 절을 올리고, 감사의 마음을 진실된 말로 표현하여 부모님의 마음을 기쁘게 해 드려야 할 일이다. 청개구리처럼 돌아가신 다음에야 식은 밥 차려놓고 울고불고 하지말고, 살아계실 때 순종과 공경을 다하여 섬김이 마땅한 효도라고 할 것이다. /자료ⓒ창골산 봉서방

제사 문제에 대한 답변

*주)올려진 자료는 글을 제공하신 분들의 견해에 따라 상반된 경우가 있습니다.참고로만 해주세요

제사하는 사람에게 이렇게 성경적으로 답변하세요

제사는 우리나라의 고유한 것이 아니다. 죽은 자에 대해 제사 드리는 풍속은 아프리카와 인도네시아 그리고 유교권에만 있다. 서구나 불교문화 권에는 제사란 없다.

우리나라에는 송나라의 주희가 성리학(주자학)을 만들어 체계화 한 것을 고려 말에 전래되었다. 그러므로 불교가 성행한 고려시대와 그 이전에는 제사라는 풍속이 없었던 것이다. 고구려 시대에 모든 왕이 아닌 특수한 왕에게만 제사 지냈다는 기록은 있으나 왕실에도 민간에도 제사의 풍속은 없었던 것이다.

13세기 고려말기 정몽주, 이색같은 사람들이 중국의 성리학을 도입하면서 사당을 짓기 시작했는데, 역시 조상들에 대한 제사가 아닌 뛰어난 사람들을 위한 사당이었다.

제사가 정식으로 도입된 것은 이씨 조선 때부터이다.

오늘날 어떤 사람은 제사는 우리 것이요 제사를 지내지 않는 것은 서양 풍속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우리 나라에는 제사 풍속이 없었으나 중간에 중국으로부터 들어와 정착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사실 어느 나라라든지 고유문화라는 것은 없다. 외래 문화(수평적 문화)가 전통문화(수직적 문화)로 자리잡은 것이기 때문이다.

그럼 우리 기독인들은 제사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많은 기독인들이 제사를 우상숭배로 간주하고 배척함으로써 불신자들에게 배척 당하는 수모를 겪는다. 그러면 제사는 우상숭배인가?

제사는 다음의 3가지 개념이 혼합되어 있다.

첫째, 부모를 공경하는 효의 개념이다.
둘째, 죽은 자의 귀신이 가정을 지켜주며 복을 준다는 개념이다.
셋째, 가정 공동체의 공동 유대를 결속시키는 집단의식의 개념이다.

유교의 가르침은 군사부(君師父)에 대한 충효의 개념인데 부(父)에 대한 효의 절정이 제사로 나타난 것이다. 돌아가신 부모님을 생각하고 공경하는 것은 사실 나쁜 것이라고 말하기는 힘들다.

성경에서도 제 5계명에서 "네 부모를 공경하라"고 가르치지 않는가? 그러므로 부모공경에서 약간 내용에 있어 다를지라도 성경이나 유교의 가르침이 일치하고 있는 것이다. 가정 공동체를 결속시키는 행위도 나쁘다고 말할 수 없다.

성경에서 가정에 대한 가르침과 관심이 얼마나 큰 지는 각 서신서의 가정에 대한 관심에서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이것도 오히려 권장할 만한 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

결국 제사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두 번째의 미신적 요소 즉 우상숭배적인 요소이다. 제사에서 신주의 지방을 모셔놓고 절하는 것은 명백한 우상숭배이다. 어떤 이는 그러면 신주나 지방을 모시지 않고 제사를 지내면 된다고 하는데 그것도 큰 잘못이다. 제사는 죽은 자의 혼을 인격체로 생각하고 와서 듣고 보고 먹는다고 생각하면서 죽은 자의 혼과 교제하는 내용으로 드려지는데, 이것은 명백한 우상숭배요, 성경이 금하는 미신행위이다.

효경에 나타난 제사의 개념을 살펴보아도 숭배, 살아있는 귀신, 면화구복(免禍求福:화를 면하고 복을 구한다)의 요소가 분명하다.

십계명 중 "너는 나외에는 다른 신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라는 제 1계명은 경배의 대상은 오직 창조주 하나님 뿐이며,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 외에 그 어떤 것도 경배의 대상이 될 순 없다는 말씀이다. 이러한 말씀에 비추어 볼 때 죽은 조상을 섬기며 경배하는 행위는 명백히 범죄행위이다.

제사에는 성경적으로 용납될 수 있는 요소와 성경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요소가 혼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미신적인 요소, 우상숭배적인 요소를 제거하고 조상을 추모하며 온 가족이 모여 가족공동체 의식을 다지며 교제하는 모임을 갖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다.

처음 로마 가톨릭이 우리나라에 상륙할 때 제사문제, 신주문제 등으로 인하여 심한 박해를 받았고, 심지어는 순교까지 당하였다. 그런데 오늘날 한국의 천주교는 아이러니컬하게도 제사를 허용하고 있다.

그 논리적 근거로는
첫째, 천주와 죽은 자의 혼령의 지위를 하늘과 땅처럼 구분한다. 즉 하나님께 드리는 경배와 같은 경배는 드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둘째, 비록 귀신에게 복을 비나 길흉은 천주한테 내려온다고 믿고 조상의 영을 생사화복의 주관자로 믿지 아니한다.

셋째, 조상의 혼령이 실제로 남아있다고 믿는다.

넷째, 천국과 지옥 사이에 연옥이 있어서 믿지않는 조상의 혼령이 거기 있는데, 자녀들이 모든 효성과 온갖 정성을 다하여 그 용서와 그 복록(福祿)을 천주께 대신 빌어 조상들로 하여금 온갖 복록이 가득한 천국에 들어가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성경적인 관점에서 볼 때

첫째, 하나님 아닌 죽은 조상의 혼령을 숭배하는 것은 우상숭배이다.

둘째, 죽은 자의 혼백이 제사 드리는 곳에 와서 음식을 먹고 절을 받는 것은 미신이다.

셋째, 죽은 자가 재앙을 막아주고 복을 가져온다는 자체가 큰 잘못이다.

넷째, 구천에 떠돌아 다니는 귀신을 달래기 위하여 음식을 장만하여 제사를 드린다는 사상도 크게 잘못된 것이다.

그러면 돌아가신 부모나 남편을 추모하고자 하는 기독인들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미국이나 유럽에 가보거나 영화에서 보면 그곳 사람들은 죽은 자를 집 가까이 묻고 생각이 나면 어느 때에나 가서 꽃 한 송이 갖다놓고 생각하고 온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유교의 제사의 영향으로 죽은 날이 특별한 날이 되어서 그 날은 추모를 해야 하며 단지 생각 정도로 그쳐서는 안 된다고 어떤 행사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문화적 정서 속에서 교회에서 권장하는 것이 추모예배이다. 죽은 자의 조상에게 숭배나 음식을 드리지 아니하고 생사화복의 주관자 하나님께 경배하며 온 가족이 모여 돌아가신 부모님이나 남편과 아내를 추모하며 가족 화목의 행사를 갖는 것이다.

그럼 이제 어떻게 해야 하나?

첫째, 제사는 성경적으로 용납될 수 있는 효도의 미덕과 가족 공동체 유대관계 결속시키는 요소가 있다. 하지만 우상숭배적인 요소는 성경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요소이다.

둘째, 신주나 지방 없이 제사 드려도 좋다거나 혹은 하나님께 경배 드리는 차원에서가 아니라, 부모공경의 차원에서 제사 드린다는 것은 이교와의 타협이요 혼합주의요 용기 있게 우상을 거부하지 못하는 하나의 핑계이다.

셋째, 제사가 아닌 추모예배를 드리는 것이 좋다.
하나님 앞에서 풍성한 감사의 고백을 드리며 온가족이 예배드린다. 또한 조상의 은덕을 기리고, 온 가족이 화목과 섬김의 장을 펼쳐나간다. 지금까지도 온 가족을 하나님이 지키시고 인도하셨지만 앞으로도 인도하심을 기뻐하며 감사하는 것이다. 그동안 살펴보지 못했던 가족 친지들을 찾으며, 인사하고, 귀한 사랑과 가족애를 나누게 된다. 그리고 돌아가신 옛 어른들을 생각하며, 추모하는 예배를 드리고, 더욱 아름다운 믿음, 소망, 사랑으로 살아갈 것을 결단하는 시간을 갖는다.

/자료ⓒ창골산 봉서방



추도예배는 성경적인가?


*주)올려진 자료는 글을 제공하신 분들의 견해에 따라 상반된 경우가 있습니다.참고로만 해주세요

1. 사전적 의미

1) 추도(追悼) : 죽은 후에 그 사람을 사모하여 애도(哀悼)함. 죽은 사람을 생각하여 슬퍼함.

2) 추모(追慕) : 죽은 사람이나 멀리 떠나간 사람을 생각하여 그리워함. 죽은 사람을 사모함

3) 추도(추모)식 : 죽은 사람을 기리는 예식

4) 추도(추모)예배 : 죽은 자를 위하여 드리는 예배.




2. 추도예배의 기원(紀元)

기독교인들이 제사를 드리지 않자 집안에 안 믿는 어른들이 예수를 믿지 못하게 핍박이 심하므로, 추도예배라는 명목으로 제사를 대신하던 것이 기독교인의 당연한 예절로 정착하게 된 것이다.<십자가신문- 1996. 11. 3>.


1) 1896년

오씨는 제사(sacrifice)가 치러져야 할 밤중에 기독교인 둘과 사람들을 불러 모았습니다. 그는 제사가 마치는 시간인 자정에 제사를 지내는 대신에 위패와 제기(fetish)와 그 외 제사와 관련된 모든 것을 태워버리려 한다고 말했습니다. 우리가 이교(heathenism)의 우상들을 이렇게 빨리 보지 않게 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지만,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기대하기도 전에 축복을 내려주시는 일이 자주 있습니다. 우리는 가서 이교도 의식 대신에 그에게 하느님을 예배할 마음이 준비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노래하고 성서를 읽고 기도드렸습니다. < 엘린우드(Ellinwood)에게 보내는 스왈른의 서한, July 1896, >


2) 1897년

‘추도예배’를 드린 것으로 최초로 드러난 사람은 ‘이무영’이라는 정동 감리교회 교인이었습니다.

“우리가 불신자들처럼 음식을 나누고 제사를 드릴 수는 없다. 그러나 효심을 가진 사람으로서 돌아가신 부모님의 첫 번째 기일을 그냥 보낼 수는 없다.” < 회중 신문, ‘조선그리스도인 회보’, 9월호, (1897. 8월 11일 발행) >


3) 1934년

교단에서 추도예배를 정식으로 인정한 것이 1934년 ‘감리교’ 총회 때이다. ‘교리와 장정’에 부모님 기일 추도예배 규정을 만들 것을 논의하고 ‘교리와 장정"’예문서에 ‘부모님 기일 기념 예문’을 삽입 했다. <세필드대 제임스 그레이슨 교수(한국명 : 김정현, 감리교 목사) 증언 >


4) 1950년 대

감리교의 영향을 받아 ‘구세군’과 ‘성결교’가 50년 대에 추도식을 공식적 예식으로 인정했다.<세필드대 제임스 그레이슨 교수(한국명 : 김정현, 감리교 목사) 증언 >


5) 1970년 대

‘장로교’는 70년대 말에 인정 하였다.<세필드대 제임스 그레이슨 교수(한국명 : 김정현, 감리교 목사) 증언 >


제사를 추도예배로 바꾼 것은 ‘우상숭배’라는 비난을 극복하고 유교사회의 중요한 가치인 ‘효’를 기독교 안으로 받아 드린 것입니다. 천주교에서 ‘선교’라는 이름으로 불교의 ‘염주’(묵주)와 제물 차려 놓은 제사(차례)를 받아들인 것과 다를 바 없습니다.

3. 죽은 자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

1) 죽은 자를 위하여 성물을 쓰지 말라고 하였다(신26:14).

2) 죽은 자에게 제사한 음식을 먹어서 하나님의 진노를 산 사례가 있다(시106:28).

3) 죽은 자를 위하여 울지 말라고 하였다(렘22:10).

4) 죽은 자를 위하여 슬퍼하지 말라고 하였다(겔24:17)

5) 성도는 소망없는 다른 이와 같이 슬퍼하지 않아야 한다(살전4:13).

성경에는 죽은 자를 추도하는 예를 갖추라고 한 곳이 없습니다. 오히려 죽은 자를 위하여 성물을 쓰지 말라(신26:14)고 하였고, 죽은 자에게 제사한 음식을 먹어서 하나님의 진노를 산 사례가 있습니다(시106:28)

4. 추도식(추도예식)

기독교에서 예배라는 말은 하나님께만 쓰는 말이고 예배의 대상은 하나님뿐인데,

죽은 자를 사모하며 예배한다는 것은 하나님과 예배에 대한 모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배와 예식은 구별됩니다. 예식은 성도에게 위로와 소망을 줄 필요가 있을 때 교회가 유연성을 발휘하여 제공하는 목양적, 선교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추도식'(추도예식)이란 표현을 쓰는 것이 성경적입니다. 그리고 추도식은 고인의 유언을 상기하거나, 고인의 살아생전 추억들을 가족 구성원이 함께 이야기하는 시간, 혹은 후손들을 향한 교훈의 시간이어야 합니다.

1) 추도식의 예시(例示)

<예시 하나>

① 개식사(지금부터 고 ○○○씨의 신앙(삶)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② 신앙고백(* 생략하여도 됨)

③ 찬송(534장 혹은 고인이 좋아하던 또는 고인의 삶과 연관된 찬송)

④ 기도

⑤ 고인의 신앙(삶)에 대한 나눔

⑥ 성경 말씀(히11:1-12;계21:1-7;잠3:1-10;눅16:19-31 또는 고인의 삶과 관련된 말씀)

⑦ 설교(*생략하여도 됨)

⑧ 기도

⑨ 찬송(531장 혹은 고인이 애창하던 또는 고인의 삶과 연관된 찬송)

⑩ 주기도문(*생략하여도 됨)

<예시 둘>

① 개식사(지금부터 고 ○○○씨의 신앙(삶)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② 찬송(534장 혹은 고인이 좋아하던 또는 고인의 삶과 연관된 찬송)

③ 기도

④ 고인의 신앙(삶)에 대한 나눔

⑤ 성경 말씀(히11:1-12;계21:1-7;잠3:1-10;눅16:19-31 또는 고인의 삶과 관련된 말씀)

⑥ 찬송(531장 혹은 고인이 애창하던 또는 고인의 삶과 연관된 찬송)

2) 추도식(추모예식)에서 금지 사항

① 절을 하지 않습니다.

② 음식을 차리지 않습니다.

③ 향을 피우지 않습니다.

④ 고인을 위하여 기도를 하지 않습니다.

/자료ⓒ창골산 봉서방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7 무명 교사에 대한 감사 / 정목일 이재섭 2024.10.18 12
86 동네 자전거/ 에세이스트 2016년 연간집에 실릴 원고입니다. 이재섭 2016.10.21 465
85 성인아이의 특성 및 정의 이재섭 2013.11.02 3337
84 학점은행제 국어국문학과 고전문학사, 현대문학사 등 수업 방안 질의 응답 29 이재섭 2012.10.10 13406
83 예수탄생교회, 세계문화유산 됐다 10 file 이재섭 2012.07.15 4675
82 열등감을 물리치는 방법 30 이재섭 2012.06.01 4188
81 교회를 섬기는 자들에게 필요한 자세 9 이재섭 2012.05.17 3705
80 행복을 부르는 사소한 습관 38 이재섭 2012.03.17 4045
79 맹학교서 師弟로 만나 인생의 동지로… 이재섭 2012.01.29 3796
» 조상 제사는 우상숭배인가? 이재섭 2012.01.21 4295
77 숨겨진 감정의 회복 이재섭 2012.01.13 3644
76 조상 제사에 대한 선교적 대응 이재섭 2011.12.30 3459
75 자존감/자기수용 이재섭 2011.11.22 3892
74 상처의 치유 7 이재섭 2011.08.14 4264
73 성경 공부 - 성경 프로그램 file 이재섭 2011.05.10 4557
72 엄마의 말 한 마디 이재섭 2011.02.03 3701
71 기독신문[사설] 진정한 성탄의미 살리자 이재섭 2010.12.17 4125
70 두살 아기 구한 여고생의 용기 이재섭 2010.11.05 3929
69 주일 국가 고시 폐지되어야 이재섭 2010.10.03 3960
68 [글로벌리포트] 러시아,원유 수출에 쏟던 열정 나노기술에 푹 빠졌다 이재섭 2010.08.25 414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