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this page
2010.08.21 08:08

용서

조회 수 27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어렸을 때는 싸움을 많이 하고 자란다. 싸움을 하고 나면 대부분 더 친해지는 경향이 많았다. 그것은 서로가 마음을 풀고 이해의 폭을 넓혔기 때문이다. 대립하는 것은 더 신경이 쓰이는 일이다. 화해를 하고 좋은 관계가 되면 마음이 편해진다. 사람은 본디 대립보다는 평화를 원하는 본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서는 상대방보다 자신을 위해서 해야 한다는 말도 있다.

소설이나 영화 또는 실제 인간의 삶은 사랑과 질투, 대립과 갈등의 구조를 이룬다. 이 같은 양면적 대립 구도는 보복과 용서의 반복적 구도로 짜여진다. 그것을 우리는 반전이라고 부른다. 이처럼 용서는 갈등과 대립이 있는 곳에 항상 존재하며 사태를 반전시키는 키워드가 된다.

신학자들은 성경에 나오는 용서의 의미를 몇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덮는다(코팔-시편 78편 38절), 들어서 없앤다(나사-시편 25편 18절), 보낸다(샬라크-레위기 16장 10절), 값없이 주다, 은혜를 베풀다, 탕감하다(카리조마이-누가복음 7장 43절) 등 단어의 의미에 따라서 여러 가지 모양의 용서가 있으나 하나님은 모든 것을 백지화 시켜주신다는 것이다.

성경에 보면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을 끊임없이 징계하고 용서했다.
예수님이 가르쳐 준 사랑의 본질은 용서다. 베드로에게 가르쳐 준 용서의 한계는 단순한 수치일 뿐 그는 끝없이 용서했고 마지막까지도 용서를 구했다. 그 용서를 배우고 닮기 위해 신앙의 정진이 필요하다. 사람은 막다른 골목으로 몰리거나 자신의 힘으로 어쩔 수 없을 때 될 대로 되라는 극단적 방법을 선택한다. 신앙의 힘은 그런 막다른 길을 만나지 않게 하려니와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하지 않도록 인도한다.

목회는 그런 상황에서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기도의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용서는 연습에서 나온다. 지독한 배신과 화를 당했어도 긍정의 시각과 너그러운 마음을 품는다면 시간이라는 보약은 용서의 실마리를 열어주고 당신의 인생을 살찌게 할 것이다. 용서는 사랑의 완성이라고 한다. 사랑과 화합을 강조하지만 날로 각박해 가는 현실에서 진정으로 받아드리고 먼저 실천해야 할 게 무엇인지 깊이 생각해 보자.

2010년 08월 17일 (화) 이길환 [데스크칼럼] www.kidok.com

<용서>는 성도의 의무입니다. 그리스도인이라면 언제나 누구라도 용서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용서받기를 부끄러워하고 이런 자리를 피해가는 자가 있는 것이 우리네 현실입니다.
자신의 잘못을 인정해 용서를 구하고 너그럽개 용서할 수 있을 때 아름다운 만남이 될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3 최고의 전략은 사람이다 / 이준행 목사 file 이재섭 2011.10.05 4757
212 선교지의 수수께끼 file 이재섭 2009.08.27 4537
211 [데스크칼럼] 초대교인들 file 이재섭 2011.05.13 4305
210 [선교칼럼] 선교와 대마도의 맞불 - 오치용 목사(GMS 서기) file 이재섭 2008.09.10 4275
209 [데스크칼럼] 판단력 이재섭 2010.11.14 4263
208 사순절을 지내는 그리스도인의 자세 file 이재섭 2012.03.17 4244
207 [데스크 칼럼] 연륜 file 이재섭 2011.07.09 4194
206 용서와 화해 file 이재섭 2011.03.16 4130
205 진정한 지도자 file 이재섭 2010.12.30 4118
204 겸손과 여호와를 경외함의 보응은 file 이재섭 2011.01.14 4116
203 한파- 겨울이 없는(?) 나라 file 이재섭 2011.01.26 4115
202 하나님의 뜻을 내 뜻대로 9 file 이재섭 2012.03.30 4109
201 당신은 사명자 입니다 이재섭 2011.09.10 4044
200 아무도 가려하지 않는 곳으로 가자 file 이재섭 2011.06.22 3981
199 [데스크칼럼] 나그네 file 이재섭 2012.03.02 3972
198 [데스크칼럼] 부활신앙 file 이재섭 2011.04.22 3941
197 5만원권 소동- 러시아에는 23만원 짜리 지폐가 통용되고 있다. file 이재섭 2009.06.25 3934
196 끝만 좋은 인생 되지 맙시다 file 이재섭 2011.03.31 3916
195 감기에 걸린 러시아 file 이재섭 2011.02.11 3897
194 사랑의 빚진 자 file 이재섭 2011.04.05 386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 Next
/ 1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