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this page
조회 수 26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여호와를 경외하는 의인이 가는 길에는 적대 세력들의 반발이 있기 마련이
다. 이것은 의인이기 때문에 그 가는 길이 결코 평탄한 것만이 아님을 시사
한다.

의인이 가는 길에 고난이 끊이지 않은 것은 이 세상이 가지고 있는 악의 성
격 때문이다. 아담이 범죄한 이후 이 세상에는 질려와 형극이 끊이지 않았다
(창 3:17-19). 이것은 죄가 이 세상에 들어 온 결과였다.
때문에 악인이라 할지라도 그 생애가 평탄한 것은 아니다. 인류가 어떤 삶
의 형태를 취하든 거기에는 본인이 극복하기 힘든 고난이 따르기 마련이다.
단지 의인과 악인에게서 다른 점이 있다면 그들 앞에 있는 고난에 대한 태도
이다.

악인들은 고난을 당할 때 자신의 힘과 능력으로 돌파하려 한다. 심지어 타인
의 힘을 동원하기 위해 조약을 맺어서라도 난관을 극복하려 한다. 그 중에
서 가장 괴악한 방법이 가인과 같은 방식이다. 가인은 의로운 동생 아벨을
순식간에 충돌하여 쳐죽이는 방법을 사용했다(창 4장). 그리고 가인은 자신
의 생존을 유지하기 위해 성을 쌓고 그곳에서 안주하는 길을 찾으려 했다.

이처럼 인간의 힘을 바탕으로 생존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힘의 철학은 가인
의 시대부터 이미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 성향은 하나님을 바르게 섬기기보
다는 자신의 세계를 세우는 반신국적인 경향을 이 세상에 가져왔다. 때문에
이 세상에서는 정의나 공의보다는 힘을 앞세우는 힘의 우월주의가 주류를 이
루게 되었고 어느 곳에서든지 힘을 바탕으로 한 불의가 가득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세속사의 흐름 속에서도 하나님은 구원의 역사를 친히 진행시켜 나가
셨다. 곧 노아 시대에 일대 정화의 과정을 거쳐 아브라함의 후손들이 마침
내 이스라엘 국가를 건설함으로써 명실공히 하나님의 공의로 통치되는 신정
국가를 세우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성경은 이스라엘 국가의 존재 의미를 부각
시키고 있다. 곧 제사장 나라로 부름받은 이스라엘이야말로 세속사에서 의인
의 길을 가는 나라임을 명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 신자들은 아브라함의 언약과 시내산 언약에 참여하는 거룩한 언
약의 공동체이며, 동시에 여기에 속한 모든 성도들은 제사장 나라의 백성으
로서 우리 시대의 교회를 대표하는 위치에 있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 송영찬 국장> 기독교개혁신보 www.rpress.or.kr 2009.12.2.

송영찬 기독교개혁신보 편집국장과는 군 생활 시절 잠시 만난 것이 계기가
되어 지금까지 교제를 유지하고 있다. 그 사이 30년이 훌쩍 넘어 한국 강산이
세 번 변했다. 맑고 밝은 삶이 거울처럼 느껴지는 목사님이다. 늘 바쁜 중에도
신문사를 방문할 때마다 친절하게 대해주어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다(수년 전
필자의 선교 역사를 2회에 걸쳐 반 페이지 분량이나 지면에 실어주기도 했다).
한국 교회를 염려하여 바른 교회관을 심기 원하는 그의 바램이 머지않아 곳
곳에서 꽃처럼 피어나 아름다운 결실을 맺게 되리라 믿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3 [데스크칼럼] 욕심 이재섭 2011.08.23 2833
152 용기있는 크리스챤 file 이재섭 2011.08.17 2842
151 화목에 대하여- file 이재섭 2011.08.11 3220
150 아름다운 만남 file 이재섭 2011.07.26 2804
149 믿음대로 이루어진다 file 이재섭 2011.07.21 3074
148 [데스크 칼럼] 연륜 file 이재섭 2011.07.09 4194
147 한국인 친구가 없는 선교사 자녀들 file 이재섭 2011.07.04 3855
146 아무도 가려하지 않는 곳으로 가자 file 이재섭 2011.06.22 3981
145 은혜의 단비 file 이재섭 2011.06.09 3435
144 받는 사랑과 주는 사랑 file 이재섭 2011.05.31 3182
143 비판하지 않는 눈 / 공동체 의식 file 이재섭 2011.05.27 2901
142 모세에게 배우는 리더십 / 차성도 교수 file 이재섭 2011.05.22 3133
141 [데스크칼럼] 초대교인들 file 이재섭 2011.05.13 4305
140 여섯 아이 부모인 제니스 목사 가정 방문기 file 이재섭 2011.05.06 3821
139 4가지 눈 file 이재섭 2011.05.01 3406
138 [데스크칼럼] 부활신앙 file 이재섭 2011.04.22 3941
137 사랑의 빚진 자 file 이재섭 2011.04.05 3869
136 끝만 좋은 인생 되지 맙시다 file 이재섭 2011.03.31 3916
135 용서와 화해 file 이재섭 2011.03.16 4130
134 [데스크 칼럼] 발상의 전환 1 file 이재섭 2011.03.11 3615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1 Next
/ 1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