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의 승리자

by 이재섭 posted Jun 28, 20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 전도사가 지방으로 목회하러 간 지 수년 후 우리 나라 남쪽 끝나는 시골 마을에서 살고 있는 최 전도사 집을 한번 찾아가 보았다. 부인이 아주 건강해 보였다. 그 사이 아들이 태어나 벌써 많이 자랐다.
 “모두 건강이 넘치네.” 하자, 최 목사 부인이 전날을 상기하며 말했다.
 “전에는 못 먹어서 몸이 안 좋았나 봐요. 지금은 괜찮아요.” 
  시골 교회를 지켜 온 최 목사 부부는 주위로부터 사랑을 많이 받고 있었다. 

  농촌 교회 예배를 참석하자 마치 경로당에 온 것 같았다. 젊은이들이 모두 도시로 나갔다는 것이다. 농사일이 쉽지 않음에도 나이 드신 어른들이 우리 땅을 지키고 있었던 것이다.
  대신 농촌 청소년들을 비롯해 많은 젊은이들이 도시로 진출하고 있었다.
  
  십 수 년 전에 최 전도사 부친이신 최 목사님을 이따금 만나 보았다. 목사님은 일제 시대 때 독립군으로 전도사로 나중에 목사로 활동하신 분이었다. 심지어 해방될 때까지 결혼도 안하고 주로 만주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가 해방 후에야 뒤늦게 결혼하셨다고 한다.
(일제에 아부하면서 곳곳에서 도사리고 있다가 해방을 맞자 전혀 다른 모습을 한 채 다시 자리를 잡아 이 땅의 지도자인 양 자처해 온 기회주의자들과 대조가 되는 분으로 보였다. 사람들은 대개 거대한 교회를 짓거나 높은
 자리에 있으면 이를 성공으로 보고 있으니-).

  최 목사님은 한국이 어려운 시절 꿋꿋이 신앙을 지키고 나라를 위해 살아온 분이었다. 그래서인지  나를 만날 때면 자신이 지켜 온 땅에서 자라나 신학교까지 졸업한 것이 대견스러운 듯 옛 이야기를 들려주시곤 했다.

  만주에서 있었던 일이라고 하셨다. 교회 종탑에 이따금 줄이 걸렸다. 아마 종이 움직이다가 그만 줄이 감겨 버리는 모양이었다. 교회 한 청년이 이 줄을 풀려고 높이 달린 종까지 올라갔다가 그만 추락하고 말았다. 이럴 때는 떨어지는 사람을 향해 힘껏 머리로 부딪혀야 살아난다는 것이다. 물론 밑에 있는 사람도 위험할 수 있겠지만 내려오는 중력을 완충시키기 위해 힘껏 부딪히자  추락하던 형제가 무사했다고 한다.

 어느 미국 선교사님이 한국에서 전도하러 다니실 때 자신은 조사(전도사) 였다 고 한다. 그런데 미국 선교사님이 다른 건 잘 적응하시는데 침대가 없이는 잠을 못 주무셨다.
 요즈음 같이 접는 군용침대라도 있었으면 좋았겠지만 당시에 구할 수 없었던 탓에 평상(마루 처럼 생긴 바닥)을 침대처럼 만들어 지게에 지고 따라다녔다고 하셨다. 
  땀을 뻘뻘 흘리며 선교사님 뒤를 따라 다니다가 여기서 주무시겠다고 하면 천막을 치고 평상을 놓아 편히 주무시도록 하고 옆에서 대충 자리잡고 주무셨다는 말에 숙연해졌다.

  이 땅의 복음화를 위해 민족의 짐을 등에 지고 다니신 고귀한 분이시다 라는 생각되었다. 자기를 부인하고  오직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하기 위해 자기 십자가를 지신 분이라 생각됐다.

  최 목사님께서 만주에 계실 때 일이 있어  한국에 잠시 나왔다고 한다. 한 교회 주일 예배를 참석했는데 예배가 좀 길어졌던지 12시가 되자 신사참배 하라는 사이렌이 울렸다.
  그러자 단상에 있는 목사부터 그 자리에 있던 모든 성도가 동방요배를 하는 것이었다. 최 목사님이 그대로 가만 있자 뒤에서 지키고 있던 일본 순사들이 대뜸 붙잡아다가 당신 어디서 왔어 하고 물었다. 그래서 가지고 있던 중국인 신분증을 보이자, 한국에 왔으면 한국 법을 지켜야 할 것 아닌가 하고 내 보내주었다 한다.

  이 무렵 신사참배를 반대하는 신앙인은 대부분 순교를 당하거나 옥에 들어가 있었고 교회를 맡고 있는 목사라도  신사참배를 병행하느라 영적으로 무딘 상태였을 것으로 보인다.
  뿌리가 깊지 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린다고 했다. 누가 과연 이 땅의 뿌리였을까. 하지만 해방 후 진리를 수호하던 출옥 성도들에 비해 숫자가 월등히 많았던 신사참배자들은 자신들이 회개했다는 미명으로 다시 한국 교계를 좌우하게 된 일은 아이러니한 일이라 생각된다. 물론 진심으로 회개한 사람도 있었겠지만 기회주의자들도 적지 않았을 듯-

  결코 많은 사람이 가는 길이라 해서 진리가 될 수  없는 일이다. 하나님은 마음의 중심을 보신다고 했다. 주님의 제자가 되기 위해서는 고난과 순교까지 각오해야 하지 않을까.
 (나는 후일 선교지에서 이처럼  두 부류의 사람들이 있음을 직접 목격할 수 있었다. 많은 수의 뜻이라 해서 정당화 될 수 없다. 주님의 사람의 중심을 보신다.
산사참배 반대자들이 소수였던 것처럼 진리에 속한 자가 적을 수 있다. 그러나 주님은 방주 밖의 세계 사람들보다 노아 방주 안에 있던 8명에게 다음 시대를 맡기셨다.

  어려운 시기에 최 목사님 같은 분들이 이 땅의 밑거름이 되었기에 우리 나라와 교회가 이만큼 발전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또 이와 반대로 이기적이고 거짓되게 살아간 가인의 후예 또한 이어져 나가 자신의 명예와 사욕에 빠지는 자들 또한 생겨난 것이 아닐까.
  진정한 회개와 반성이 없을 통해 뿌리가 변모하기 전에는 좋은 열매를 맺기 어려울 듯-

  한국 땅이 아직 복음을 잘 접하지 못하고 있을  무렵 이런 분들의 수고로 우상의 터가 개간되지 않았던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권에 매이거나 자기 교회 위주의 이기적인 태도로 지내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은 오늘의 현실이 부끄럽게 느껴졌다.

  최 목사님은 은퇴하시기까지 네 교회를 세웠다 한다. 한 교회를 세워놓고 이를 근거로 다소 여유를 가질 수도 있었겠지만 한국에 교회가 너무 없는 현실이 안타까워 60세에도 교회개척에 나섰다는 것이다. 최 전도사는 위로 누나들이 있고 자신은 막내라 했다.
  최 목사님께서 은퇴를 하시는 날 자식들을  불러 모아 놓고 이렇게 말씀하셨다 한다. 
 “너희들에게 아무 유산도 못 남겨주어  미안하다. 모두 잘 살아가야 한다. 그리고 이제 난 목사를 그만 두었다. 그러니 한 사람의 집사가 된 것이다.”

  그분의 소박한 모습을 대변하는 말씀이라 생각되었다.  최 목사님은 은퇴 후 약간의 남은 것을 정리해 한적한 곳으로 가셔서 논밭을 조금 구해 농사를 짓고 계셨다. 동네에서는 최 목사님을 가리켜 집사님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목사님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아마 교인이 아닌 분 가운데 집사님으로 들어서 그런 듯-

  마침 서울에서 그리 멀지 않은 경기도 북부에 계신 탓에 이따금 최 목사님을 찾아가 인사를 드렸다. 최 목사님은 언제나 힘이 넘쳐보였다. 
하루는 최 목사님께  다른 질문을 하나 했다.
 “목사님께서 오랫동안 독립 운동을 하셨으니 국가유공자라도 되셔야 하지 않았겠습니까?” 하고 여쭈어 보았다. 
“당시 우리 독립군은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정규군이었다. 정규군이 유공자가 되는 것을 보았나. 혹 다친 사람이 있으면 그런 사람이나 혜택을 입으면 되지. 그리고 이런 저런 이유를 내세워 나라에 자꾸 부담을 주는 것은 좋지 않아. 스스로 살아가야지”  하시는 것이었다.  
참으로 진정한 애국자요 신앙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국에 더 계셨으면 가끔 인사를 드렸을텐데 후일 미국에 있는 따님 집으로 가셔서 뵙기 어렵게 되었다.
 
부친 목사님이 연세가 많이 드셔서 소천하시자 최 목사 가족은 부친이 계시던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고 한다. 순수하고 착한 최 목사 가족은 어디서나 주어진 몫을 잘 감당하리라 믿는다.

사진- 카자흐스탄에서 어린 세 자녀들과 힘겨운 삶을 살아야 했던 사라 선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