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this page
2009.01.11 15:14

추위를 이기는 법

조회 수 34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영하 5도 심하면(?) 영하 10도 내외의 강추위(?)로 인해 한국 전역이 꽁꽁 얼어붙었다.
모피와 마후라, 갖가지 모자와 장갑까지 동원된 한국의 겨울나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영하 40도까지 내려가는 시베리아 사람들이 이 모습을 보면 마침 엄살(?)을 피우는 것
처럼 느껴질 지도 모른다.
시베리아에서 만나는 러시아 사람들이 이따금 한국의 겨울은 영하 몇 도까지 내려가냐고
묻는다. 영하 10도 넘는 날이 드물다. 이때는 학교도 방학에 들어간다고 대답하자 대뜸
거기는 겨울이 없는 나라다 라고 말했다.
시베리아 사람들이 볼 때 겨울이 없는 그야말로 따뜻한 남쪽 나라일 수 있다. 똑같이
하나님이 창조한 몸인데 추위에 대한 적응력 차이가 큰 것을 느낄 수 있다.

시베리아 사람들은 추위가 몰려올 때 어떻게 대처하는가.
먼저 모자를 쓴다. 바깥 기온에 맞추어 여러 가지 형태의 모자가 준비되어 있다.
대개 영하 20도 이내에 쓰는 모자와 그 이상 추울 때 쓰는 모자가 다르다. 젊은이들은
주로 빵모자를 선호한다. 이또한 한 겨울 용으로 두툼하게 만든 것이 있다.
기온이 내려가기 시작하면 털(진짜 털은 드물다)이 든 부추와 털모자를 쓴다.
옷도 추위에 적응하기 위해 점차 두툼해 진다(오리털 점퍼도 여러 종류가 있다).
시베리아에 온 첫 겨울에는 유난히 추워서 영하 35도를 오르내렸다. 의류 도매업을 하시
는 장로님께서 오리털 점퍼를 선물하셨는데 아무리 추워도 견딜만 했다.

영하 30도 이하에서도 견딜 수 있는 옷을 한국 시장에서 구입하는 일이 어렵지 않다.
그런데 왜 영하 10도 내외에서 추위에 떨어야 할까. 한국인들은 옷에만 신경을 쓰지
머리 모양을 지키기 위해 모자를 잘 쓰지 않는다. 더욱이 겨우내 신는 신발이 대개
단화나 하이힐이다. 찬바람이 발로 스며들고 머리가 차가운 바람에 노출되다 보니
추위를 느낄 수밖에 없다.
또 하나 이유를 든다면 한국은 3면이 바다로 싸인 탓에 습도가 높고 바람이 자주 부는
편이다. 이 경우 실제 온도에 비해 체감온도가 더 내려갈 수 있다.

한국 사람들도 적절한 모자를 쓰고 겨울 기온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의 신발을 신는다면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절약도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무엇보다 추위를 겁내지 않은 정신력이 필요하다. 시베리아 북부 지역에는 영하 60도
까지 내려갈 때가 있다. 이런 강추위에도 견디는 종족이 있는 만큼 한국인들도 추위쯤
은 겁내지 않는다는 자신감을 보여 주었으면 한다.
시베리아에서 살아가고 있는 선교사 가족을 위해 기도바랍니다.

<사진설명> 10월 중순인데도 마을이 눈에 싸여 있다. 빌체르 교회 앞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2 총영사관 소식공유 file 이재섭 2007.05.28 2882
151 12월에는 ...한 해를 .마무리할 수 있는 날들로 file 이재섭 2009.12.17 2889
150 겸손 file 이재섭 2011.08.11 2894
149 엘란츠 마을 주일 예배 설교와 선교를 위해 기도바랍니다. file 이재섭 2009.08.28 2896
148 복음 안에서 교제하라 / 차성도 교수 1 이재섭 2009.10.12 2897
147 길의 갈래 file 이재섭 2011.12.30 2897
146 미국서 기독 과학인의 삶과 역할 모색하는 대회 열려 file 이재섭 2008.11.15 2899
145 "선교 진정성 확인하는 계기로 희생 · 섬김임을 알리고 싶어" file 이재섭 2008.07.30 2900
144 [re] 건의합니다. 이재섭 2010.09.01 2900
143 한몸, 한마음 - 그리스도인의 의무 file 이재섭 2009.02.19 2901
142 왜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를 말해야 하는가? file 이재섭 2011.05.06 2901
141 협력의 놀라운 열매 함께 나눕시다 file 이재섭 2008.03.04 2905
140 아침의 기도 file 이재섭 2012.01.02 2905
139 전도부는 초청잔치- “시대적 과제 ‘이주민 사역’ 적극 나서야” file 이재섭 2011.07.08 2906
138 부랴트 종족 신학생인 일리야를 위해 기도바랍니다. file 이재섭 2009.06.13 2908
137 기쁨의 사람들 file 이재섭 2011.02.01 2909
136 하나님이 보내시는 사람 file 이재섭 2009.10.07 2914
135 [re] 서진공영(주)입니다. 서진공영(주) 2007.11.13 2915
134 고난주간과 십자가상 칠언 file 이재섭 2012.04.04 2915
133 어느 선교사의 편지를 읽고- file 이재섭 2007.05.26 2917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8 Next
/ 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