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this page
조회 수 19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교회는 스스로 깨어나지 못하는 알인가?

“스스로 알을 깨고 나오면 병아리가 되지만
남이 깨주면 1회용 계란프라이에 불과하다”

한 개인의 삶이든
아니면 공동체를 이룬 어떤 단체나 사회이든
계란의 껍데기와 같은 굳은 아집과
응고된 사고의 틀, 곧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지만
시간이 가고 세월이 흐르면서 만들어지는 것이
계란의 껍데기가 만들어지는 것과 여간 닮은 것이 아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껍질 안에 매여
그것의 옳고 그름조차도 알지 못한 채 사는 이들...
사람들은 그것을 깨어 버려야할 껍질이라 하지만

정작 그 안에 있는 이들은
처음부터 그랬던 전통이려니 하고 산다.

예수님을 믿는 교회라고
이러한 고정관념이 없을 수 있겠는가?

교리와 신학이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지고
전통과 제도라는 이름으로 형성된 숱한 껍질들이
때로는 개혁이라는 산고를 겪으며 깨어지기도 하였지만

더러는 겁먹은 거북이처럼
오히려 더 단단한 껍질 속으로 파고들기도 하였다.

최근 이 단단한 껍질들을 깨려고
돌을 던지는 시도들이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

그런데 아쉽고 우려되는 것은
스스로 깨어 나오는 시도가 아니라
밖에서 억지로 깨뜨리려고 하는 것이다.

우선 분명하게 규정하고 넘어갈 것은
교회의 주인이신 하나님께서
교회를 무엇으로 세우셨는가? 라는 문제이다.
달걀을 손에 쥔 농부가
그것을 생명을 지닌 병아리로 보느냐
아니면 밥상에 올려질 반찬거리로 보느냐에 따라
그것의 운명이 결정 나기 때문이다.

분명한 것은 하나님께서 교회를
사람들의 입맛을 채우는 반찬거리가 아니라
생명을 지닌 생명의 공동체로 세우셨다는 것이다.

그러기에 하나님은 교회가
알에서 깨어나기를 무던히도 기다리고 계신다.

불순종과 거역의 세월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억지로 껍질을 걷어내시지 않으셨고
생명 공동체가 아닌 계란프라이로
그 존재와 목적을 바꾸시지도 않으셨다.

그런데...

세상은 그 단단한 껍질을 깨어주려고 한다.

단단한 껍질에서 깨어나지 못하는,
그 아집과 고정관념을 지켜보기에 답답함이 있었겠지만

그렇게 깨어주는 껍질이라면
누가 기쁘게 감사하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교회는 깨어나지 못하는 알인가?

사람들은 교회가 자정 능력을 상실하였기에
누군가가 깨어주어야 한다고 말들을 하지만
껍질 안의 생명을 보지 못한 채 말하는 조급함은 아닐까?

비록 그 태동이 미미하고 작아도
이미 십자가로 예수생명이 된 자들의
끊임없는 꿈틀거림과 거친 호흡이 있으니 말이다.

그럼에도...

껍질을 깨라고 돌을 던지는 이들...
그것이 반갑지 않고 고통스런 것이지만

우리가 깨어나기를 기다리시는
아버지의 안타까움으로 받아도 좋을 듯하다.

자료/창골산 봉서방 카페 http://cafe.daum.net/cgsbong
필자/동산사랑/목사

**********

요즘 이곳에서 한국에서온 사업가들을 비롯해 이방인들을 만날 기회가 많아졌다.
또 멀리서 이곳을 방문하는 손님들도 있었다.

가장 괴로운 것은 우리가 고립되어 있는 현실을 말할 때이다.
남북 관계도 아니고 무슨 원수 사이도 아니고
오십대 중반의 목사를 피해 똘똘 뭉쳐 있는 우리네 젊은이들의
모습이 안쓰럽기만 하다.

단 한 사람의 태도로 이런 결과를 낳은 탓에 더욱 아쉽게 느껴진다.
단단하게 굳어진 껍질을 스스로 깨지 못하고 있는 탓에
부활절이 다가와도 변화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이번에 방문한 자매는 모태 신자로 활동 폭이 넓어 보인다.
젊은 층이 선호하고 있는 Y선교단체에 오랫동안 연관을 가지고 있다 한다.
바로 이 단체 소속 자매가 이곳에도 있다. 역시 껍질이 두꺼운 편이다.

똑 같은 껍질도 누가 깨는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이제라도 스스로 껍질을 깨고 밝은 빛 아래 나오길 고대한다.
마치 우리가 피하고 있는 양 둘러대서는 안될 것이다.

몇 안 되는 한국인 크리스챤들이 빛과 소금의 직분을 감당하기 위해
용서와 화해 나아가 그리스도의 지체를 이루는 삶이 요구된다.

사진설명- 겨울 나라에서 살아가고 있는 이 선교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2 "5000명 파송 정책 우려” / 선교사의 진로 file 이재섭 2007.06.02 2066
351 "선교 진정성 확인하는 계기로 희생 · 섬김임을 알리고 싶어" file 이재섭 2008.07.30 2900
350 "선교는 행복한 열정” file 이재섭 2008.07.04 2350
349 "청바지 한장이면 몸파는 '러시아 처녀'" 란 글을 읽고- 1 file 이재섭 2010.10.09 5512
348 "피랍자들 고통은 우리 모두의 아픔" 이재섭 2007.08.10 1928
347 "한국 선교사, 현지 문화와 소통 미흡" file 이재섭 2008.06.19 2301
346 '가까워진 바이칼 호수', 대한항공 인천~이르쿠츠크 직항 운항 5 이재섭 2010.08.18 4492
345 ** 십자가의 길 (고난주간 묵상집) file 이재섭 2011.04.19 3658
344 12월에는 ...한 해를 .마무리할 수 있는 날들로 file 이재섭 2009.12.17 2889
343 15일 밤 비행기로 시베리아 순회 선교를 떠납니다 기도바랍니다. file 이재섭 2013.07.15 1702
342 2010년 마지막 수요 예배 - 제니스 목사와의 만남 file 이재섭 2010.12.31 3504
341 2012년 12월 21일 종말설에 대해 file 이재섭 2012.01.13 2982
340 2월 23일은 러시아 남자의 날 file 이재섭 2009.02.23 4335
339 35년만의 만남 이재섭 2011.08.23 2848
338 3월 8일은 러시아 최대의 명절 가운데 하나인 <여자의 날> file 이재섭 2009.03.09 3699
337 4개 장로교단 "회개, 회개합니다" 1 file 이재섭 2008.09.27 2224
336 5월 30일은 기성이의 만 20세 생일입니다 축하바람니다. file 이재섭 2011.05.30 3561
335 5월 9일은 독소전-전승기념일(독소전의 역사) file 이재섭 2011.05.10 3771
334 5월 9일은 러시아 전승기념일 39 이재섭 2012.05.10 3352
333 6월 12일은 러시아가 새롭게 태어난 독립기념일입니다. file 이재섭 2007.06.13 212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