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this page
조회 수 20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안재은목사(GMS 정책위원장)


우리 GMS 선교회는 세계도처에서 활약하는 2000여명의 선교사와 함께 많은 사역들을 펼치고 있다. 우리는 여기서 잠시 우리가 중점적으로 생각해야 할 선교사역에서 잊어서는 안 될 방향들이 있음을 기억하고 선교사역을 위한 이정표가 무엇인지 한번 생각할 수 있기를 바란다.

첫째로, 현장 중심의 선교사역을 강조해야 한다. 선교의 최전방은 선교사들이 있는 곳이다. 현장 중심의 선교개념은 현장 선교사의 목소리가 높아야 된다는 의미로 오해되어서는 안된다. 이 말은 선교현장 사역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시스템 운영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는 뜻이다.

둘째로, 선교사의 질적 강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선교현장 사역을 강화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바로 선교사 자체이다. 선교지에 선교사가 파송되었다는 그 자체로 선교가 잘 진행된다고 볼 수는 없다. 선교사가 선교현장에서 선교사역을 제대로 할 때 현장 사역이 강화될 것이다. 선교지에는 선교사역에 헌신하는 선교사가 필요하고, 그 선교사는 효과적인 선교사역을 수행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추어야 한다.

셋째로, 선교사의 후생과 복지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선교사가 수습기간을 거치고 중견 선교사가 되기까지는 선교에 헌신하고 희생을 감수한다. 하지만 시간 흐르면서 선교사에게 닥치는 현장의 어려움과 경제적 고통, 외지에서의 생활과 노후의 삶에 대한 문제가 현실로 다가오면 선교현장 사역에는 막대한 지장을 줄 여지가 많다.

넷째로, 여성선교사와 선교사 자녀의 문제는 배려와 관심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남편과 함께 부름 받고 대우를 받는 부인 선교사를 제외한 GMS 선교사의 7%에 해당하는 독신 여선교사들에게는 아직까지 많은 제약이 있으며, 정신적인 대우나 후생에도 절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다. 이들 중에는 처음부터 독신(single) 선교사가 된 경우도 있지만 남편과 사별한 경우도 있다. 그리고 우리 GMS 선교부에는 약 2000여명의 선교사 자녀가 있다. 이들에게는 한국과 한국어에 대한 정체성(identity) 교육, 신앙교육에 큰 어려움이 있다. 선교지에 귀하게 쓰임 받는 선교사의 자녀(Mission Kids) 문제는 우리의 공동관심사가 되어야 한다.

확실한 소명감과 일사각오의 신앙으로 헌신한 선교사들은 선교현장에서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 최선을 다하며, 이렇게 충성하는 선교사를 위해 매사에 자신의 일처럼 관심을 가지고 후원하며 기도하는 교회가 함께 어우러질 때 성공적인 선교사역의 열매를 맺을 것이다.

2008년 02월 18일 (월) 기독신문 www.kidok.com


이 선교사와 사라 선교사는 GMS 파송 선교사로 동시베리아 이르쿠츠크에서 사역 중입니다.
교단 중심으로 지원을 받고 있지만 여러 타 교단 교회도 동참하고 있습니다.
현지에서는 러시아 침례교회와 동역하면서 오직 주님의 나라 건설을 위해 일하고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2 "5000명 파송 정책 우려” / 선교사의 진로 file 이재섭 2007.06.02 2066
351 "선교 진정성 확인하는 계기로 희생 · 섬김임을 알리고 싶어" file 이재섭 2008.07.30 2900
350 "선교는 행복한 열정” file 이재섭 2008.07.04 2350
349 "청바지 한장이면 몸파는 '러시아 처녀'" 란 글을 읽고- 1 file 이재섭 2010.10.09 5512
348 "피랍자들 고통은 우리 모두의 아픔" 이재섭 2007.08.10 1928
347 "한국 선교사, 현지 문화와 소통 미흡" file 이재섭 2008.06.19 2301
346 '가까워진 바이칼 호수', 대한항공 인천~이르쿠츠크 직항 운항 5 이재섭 2010.08.18 4492
345 ** 십자가의 길 (고난주간 묵상집) file 이재섭 2011.04.19 3658
344 12월에는 ...한 해를 .마무리할 수 있는 날들로 file 이재섭 2009.12.17 2889
343 15일 밤 비행기로 시베리아 순회 선교를 떠납니다 기도바랍니다. file 이재섭 2013.07.15 1702
342 2010년 마지막 수요 예배 - 제니스 목사와의 만남 file 이재섭 2010.12.31 3504
341 2012년 12월 21일 종말설에 대해 file 이재섭 2012.01.13 2982
340 2월 23일은 러시아 남자의 날 file 이재섭 2009.02.23 4335
339 35년만의 만남 이재섭 2011.08.23 2848
338 3월 8일은 러시아 최대의 명절 가운데 하나인 <여자의 날> file 이재섭 2009.03.09 3699
337 4개 장로교단 "회개, 회개합니다" 1 file 이재섭 2008.09.27 2224
336 5월 30일은 기성이의 만 20세 생일입니다 축하바람니다. file 이재섭 2011.05.30 3561
335 5월 9일은 독소전-전승기념일(독소전의 역사) file 이재섭 2011.05.10 3771
334 5월 9일은 러시아 전승기념일 39 이재섭 2012.05.10 3352
333 6월 12일은 러시아가 새롭게 태어난 독립기념일입니다. file 이재섭 2007.06.13 212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