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this page
조회 수 18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모리 슈워츠 교수의 마지막 메시지 ♣


1. 살아가는 법을 배우십시오.

그러면 죽는 법을 알게 됩니다.

죽는 법을 배우십시오.

그러면 살아가는 법을 알게 됩니다.

훌륭하게 살아가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언제라도 죽을 준비를 하는 것입니다.


2. 자신의 몸이나 병에 지나치게 집착하지 마십시오

몸은 우리의 일부일 뿐, 결코 전체가 아닙니다.

우리가 이렇게 위대한 이유는 몸이 있기 때문이 아니라

감정과 통찰력, 직관을 지닌 존재들이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감정과 통찰력과 직관이 남아있다면

우리는 아직 우리의 자아를 잃어버린 것이 아! 닙니다.



3. 화가 나면 화풀이를 하십시오.

항상 좋은 사람인 척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저 좋은 사람인 때가 더 많은 사람이면 충분합니다.

극도로 화가 났을 때는 그 감정을 밖으로 표현하십시오.

좌절하거나 화가 났을 때, 감정을 표출하는 것 자체를

두려워해서는 안됩니다.




4.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

자신을 동정할 줄 아는 사람

자신에게 친절한 사람이 되십시오.

자신을 가장 가까운 친구로 삼으십시오.

자신을 진실로 아는 자는 진실로 자신을 귀하게 여기며

자신에 대한 귀한 존경심을 통하여

타인들을 자기처럼 귀하게 여기는 방법을 배웁니다.



5. 타인의 도움을 받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닙니다.

우리가 사랑하고, 우리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기꺼이 우리를 도와주도록 해야! 합니다.

다만, 그들이 들어 줄 수 없는 요구를

하지 않도록 조심하십시오.



6. 너무나 짧은 우리의 삶에서

행복은 소중한 것입니다.

가능한 한 즐거움을 많이 느낄 수 있도록

마음을 열어 놓으십시오.

전혀 예상치 못한 때에, 뜻밖의 곳에서

행복은 우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7. 슬퍼하고, 슬퍼하고, 또 슬퍼하십시오.

눈물을 흘리며 슬픔을 드러내는 것은

삶의 소중한 휴식이 되며,

우리에게 새로운 힘을 불어넣어 줍니다.

슬픔을 드러내는 것은

카타르시스와 위안을 안겨 주며

침착함을 유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슬픔의 끝이 슬픔일 수는 없습니다.

잃어버린 것을 슬퍼하며 울고 난 후에는

아직 남아 있는 것에 감사할 줄도 알아야 합니다.



8. 우리가 정말로 해서는 안 될 일은

자기 자신을 쓸모없는 존재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자신을 쓸모없는 존재라고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그런 생각의 끝에는 우울증이 기다리고 있을 뿐입니다.

쓸모있는 존재가 될 수 있는

자기 나름의 방법을 찾으십시오.



9.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을

용서하는 힘을 기르십시오.

용서는 우리의 삶을 이전의 삶과는

아주 다른 새로운 삶으로 이끌어 줍니다.

용서는 마음을 누그러뜨리고,

억울한 생각을 없애주며, 죄책감을 녹여 줍니다.



10. 파도는 해안에 부딪쳐 사라지지만,

바다는 사라지지 않습니다.

바다의 일부였던 그 물결은

결코 사라지는 것이 아니며

인류의 삶이 계속되는 한

우리는 파도가 아니라

바다의 일부입니다.




모리 슈워츠(Morrie Schwartz)교수는 미국 매사추세츠 월트햄에
있는 브랜다이스 대학에서 35년 동안 사회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1994년 77세 나이에 루 게릭병에 걸려 1995년 11월 4일 세상을
떠났다. 그는 자신의 병을 받아 들이고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
동안 가능한 한 풍요로운 삶을 살기에 노력했다.

목숨이 끝나는 마지막 순간까지 배움에 대한 열정을 버리지
않았으며, 스승으로서의 직분 또한 버리지 않았다.

자신의 죽음을 드러내어 그 과정에서 겪는 온갖 슬픔과 고통을
모든 사람들을 위한 대화의 소재로 기꺼이 내 놓았으며,

말을 더듬고 손발은 움직이지 못하는 처지이면서도
자신의 마지막 모습까지 모든 살아 있는 사람들에게 개인주의와
경쟁만이 최고의 가치로 인정되는 이 시대에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사랑과 연대 의식, 용기와 희망을 전하고자 했던 위대한
스승이었다. 그는 삶을 사랑하였고, 죽음 또한 기꺼이 받아
들였으며, 그의 삶과 죽음은 사람됨의 위엄과 기품을
우리들 마음속에 깊이 새겨 놓았다.(옮김)


카페 이름 : 기독교이단사이비연구
카페 주소 : http://cafe.daum.net/RAACH
카페 소개 : 기독교 이단 사이비 연구 대책 협의회 홈입니다


사진설명- 에반젤리칼교회를 60년 이상 출석해온 할머니 성도- 기독교 박해 시절
순교당한 분들에게 대해 생생하게 증언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2 수영로교회 선교센터 엘레브 개관 file 이재섭 2009.10.15 5534
351 "청바지 한장이면 몸파는 '러시아 처녀'" 란 글을 읽고- 1 file 이재섭 2010.10.09 5512
350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file 이재섭 2011.03.14 5473
349 동반자 시 / 이재섭 file 이재섭 2007.04.23 5356
348 창골산 봉서방 카페에서 긴급기도 요청드립니다 file 이재섭 2010.10.02 5031
347 신성종 목사의 <내가 본 지옥과 천국> 요약 file 이재섭 2011.01.11 4972
346 성탄을 맞으실 준비가 되셨나요? 14 file 이재섭 2009.12.23 4952
345 참과 거짓 싸울 때 - 찬송가 해설 6 이재섭 2010.01.07 4873
344 바이칼 호수에만 사는 물고기 <오물> file 이재섭 2011.04.14 4830
343 창조 신학이 근본이다. file 이재섭 2011.06.22 4592
342 [재난의 땅, 아이티공화국을 가다] 고통의 얼굴에 하얀 웃음 피다 이재섭 2010.02.19 4575
341 여자의 날- 3월 8일은 러시아 최대의 명절의 하나입니다 file 이재섭 2011.03.08 4559
340 '가까워진 바이칼 호수', 대한항공 인천~이르쿠츠크 직항 운항 5 이재섭 2010.08.18 4492
339 기성이와 어제 아침 채팅한 내용 소개합니다. file 이재섭 2011.09.29 4432
338 2월 23일은 러시아 남자의 날 file 이재섭 2009.02.23 4335
337 사순절 준비 기간 (Pre-Lent) 4 file 이재섭 2012.03.09 4333
336 제자도의 핵심 이재섭 2010.11.10 4292
335 가나안에 들어가려면 / 차성도 교수 file 이재섭 2011.06.06 4232
334 영원한 스승 file 이재섭 2011.05.15 4213
333 이르쿠츠크 살림살이 file 이재섭 2007.05.04 418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