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this page
조회 수 18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모리 슈워츠 교수의 마지막 메시지 ♣


1. 살아가는 법을 배우십시오.

그러면 죽는 법을 알게 됩니다.

죽는 법을 배우십시오.

그러면 살아가는 법을 알게 됩니다.

훌륭하게 살아가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언제라도 죽을 준비를 하는 것입니다.


2. 자신의 몸이나 병에 지나치게 집착하지 마십시오

몸은 우리의 일부일 뿐, 결코 전체가 아닙니다.

우리가 이렇게 위대한 이유는 몸이 있기 때문이 아니라

감정과 통찰력, 직관을 지닌 존재들이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감정과 통찰력과 직관이 남아있다면

우리는 아직 우리의 자아를 잃어버린 것이 아! 닙니다.



3. 화가 나면 화풀이를 하십시오.

항상 좋은 사람인 척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저 좋은 사람인 때가 더 많은 사람이면 충분합니다.

극도로 화가 났을 때는 그 감정을 밖으로 표현하십시오.

좌절하거나 화가 났을 때, 감정을 표출하는 것 자체를

두려워해서는 안됩니다.




4.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

자신을 동정할 줄 아는 사람

자신에게 친절한 사람이 되십시오.

자신을 가장 가까운 친구로 삼으십시오.

자신을 진실로 아는 자는 진실로 자신을 귀하게 여기며

자신에 대한 귀한 존경심을 통하여

타인들을 자기처럼 귀하게 여기는 방법을 배웁니다.



5. 타인의 도움을 받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닙니다.

우리가 사랑하고, 우리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기꺼이 우리를 도와주도록 해야! 합니다.

다만, 그들이 들어 줄 수 없는 요구를

하지 않도록 조심하십시오.



6. 너무나 짧은 우리의 삶에서

행복은 소중한 것입니다.

가능한 한 즐거움을 많이 느낄 수 있도록

마음을 열어 놓으십시오.

전혀 예상치 못한 때에, 뜻밖의 곳에서

행복은 우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7. 슬퍼하고, 슬퍼하고, 또 슬퍼하십시오.

눈물을 흘리며 슬픔을 드러내는 것은

삶의 소중한 휴식이 되며,

우리에게 새로운 힘을 불어넣어 줍니다.

슬픔을 드러내는 것은

카타르시스와 위안을 안겨 주며

침착함을 유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슬픔의 끝이 슬픔일 수는 없습니다.

잃어버린 것을 슬퍼하며 울고 난 후에는

아직 남아 있는 것에 감사할 줄도 알아야 합니다.



8. 우리가 정말로 해서는 안 될 일은

자기 자신을 쓸모없는 존재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자신을 쓸모없는 존재라고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그런 생각의 끝에는 우울증이 기다리고 있을 뿐입니다.

쓸모있는 존재가 될 수 있는

자기 나름의 방법을 찾으십시오.



9.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을

용서하는 힘을 기르십시오.

용서는 우리의 삶을 이전의 삶과는

아주 다른 새로운 삶으로 이끌어 줍니다.

용서는 마음을 누그러뜨리고,

억울한 생각을 없애주며, 죄책감을 녹여 줍니다.



10. 파도는 해안에 부딪쳐 사라지지만,

바다는 사라지지 않습니다.

바다의 일부였던 그 물결은

결코 사라지는 것이 아니며

인류의 삶이 계속되는 한

우리는 파도가 아니라

바다의 일부입니다.




모리 슈워츠(Morrie Schwartz)교수는 미국 매사추세츠 월트햄에
있는 브랜다이스 대학에서 35년 동안 사회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1994년 77세 나이에 루 게릭병에 걸려 1995년 11월 4일 세상을
떠났다. 그는 자신의 병을 받아 들이고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
동안 가능한 한 풍요로운 삶을 살기에 노력했다.

목숨이 끝나는 마지막 순간까지 배움에 대한 열정을 버리지
않았으며, 스승으로서의 직분 또한 버리지 않았다.

자신의 죽음을 드러내어 그 과정에서 겪는 온갖 슬픔과 고통을
모든 사람들을 위한 대화의 소재로 기꺼이 내 놓았으며,

말을 더듬고 손발은 움직이지 못하는 처지이면서도
자신의 마지막 모습까지 모든 살아 있는 사람들에게 개인주의와
경쟁만이 최고의 가치로 인정되는 이 시대에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사랑과 연대 의식, 용기와 희망을 전하고자 했던 위대한
스승이었다. 그는 삶을 사랑하였고, 죽음 또한 기꺼이 받아
들였으며, 그의 삶과 죽음은 사람됨의 위엄과 기품을
우리들 마음속에 깊이 새겨 놓았다.(옮김)


카페 이름 : 기독교이단사이비연구
카페 주소 : http://cafe.daum.net/RAACH
카페 소개 : 기독교 이단 사이비 연구 대책 협의회 홈입니다


사진설명- 에반젤리칼교회를 60년 이상 출석해온 할머니 성도- 기독교 박해 시절
순교당한 분들에게 대해 생생하게 증언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 후회(後悔)없는 인생 file 이재섭 2010.01.13 3456
51 민들레 예찬 file 이재섭 2007.05.09 3468
50 찬미가 만 20세 성인이 되었습니다 file 이재섭 2010.04.17 3477
49 성경 공부, 꼭 비싼 성경 프로그램 필요 있나요? file 이재섭 2010.10.09 3479
48 삶의 이야기(2) - 가난한 이웃들(봉제공장 청소년들)과 함께 file 이재섭 2012.12.19 3485
47 추위를 이기는 법 file 이재섭 2009.01.11 3494
46 2010년 마지막 수요 예배 - 제니스 목사와의 만남 file 이재섭 2010.12.31 3504
45 쉐마 자녀교육법 이재섭 2009.07.19 3518
44 부랴트 지역 선교와 러시아 교회 이해 file 이재섭 2011.02.25 3532
43 선교사 자녀 교육문제 이재섭 2009.02.03 3537
42 전국장로회 개혁주의 영성 무장 file 이재섭 2010.07.23 3539
41 한 주간에 약 30번 집회 모이는 교회 file 이재섭 2012.04.28 3556
40 삶의 이야기(1)- 이웃사랑- 독립투사 자녀 목시님 이야기 44 file 이재섭 2012.12.07 3556
39 5월 30일은 기성이의 만 20세 생일입니다 축하바람니다. file 이재섭 2011.05.30 3561
38 후회없는 크리스챤의 삶 file 이재섭 2007.05.09 3565
37 블라디보스톡 총영사관 영사소식 5 이재섭 2009.07.10 3591
36 삶의 이야기(5)- 선교지 첫 방문-태국과 러시아- 2 file 이재섭 2013.03.14 3627
35 사르밧 과부의 선택 / 차성도 교수 file 이재섭 2011.01.06 3641
34 흘러 넘치는 기쁨 file 이재섭 2011.02.09 3650
33 ** 십자가의 길 (고난주간 묵상집) file 이재섭 2011.04.19 3658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 18 Next
/ 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