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this page
조회 수 18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모리 슈워츠 교수의 마지막 메시지 ♣


1. 살아가는 법을 배우십시오.

그러면 죽는 법을 알게 됩니다.

죽는 법을 배우십시오.

그러면 살아가는 법을 알게 됩니다.

훌륭하게 살아가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언제라도 죽을 준비를 하는 것입니다.


2. 자신의 몸이나 병에 지나치게 집착하지 마십시오

몸은 우리의 일부일 뿐, 결코 전체가 아닙니다.

우리가 이렇게 위대한 이유는 몸이 있기 때문이 아니라

감정과 통찰력, 직관을 지닌 존재들이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감정과 통찰력과 직관이 남아있다면

우리는 아직 우리의 자아를 잃어버린 것이 아! 닙니다.



3. 화가 나면 화풀이를 하십시오.

항상 좋은 사람인 척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저 좋은 사람인 때가 더 많은 사람이면 충분합니다.

극도로 화가 났을 때는 그 감정을 밖으로 표현하십시오.

좌절하거나 화가 났을 때, 감정을 표출하는 것 자체를

두려워해서는 안됩니다.




4.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

자신을 동정할 줄 아는 사람

자신에게 친절한 사람이 되십시오.

자신을 가장 가까운 친구로 삼으십시오.

자신을 진실로 아는 자는 진실로 자신을 귀하게 여기며

자신에 대한 귀한 존경심을 통하여

타인들을 자기처럼 귀하게 여기는 방법을 배웁니다.



5. 타인의 도움을 받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닙니다.

우리가 사랑하고, 우리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기꺼이 우리를 도와주도록 해야! 합니다.

다만, 그들이 들어 줄 수 없는 요구를

하지 않도록 조심하십시오.



6. 너무나 짧은 우리의 삶에서

행복은 소중한 것입니다.

가능한 한 즐거움을 많이 느낄 수 있도록

마음을 열어 놓으십시오.

전혀 예상치 못한 때에, 뜻밖의 곳에서

행복은 우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7. 슬퍼하고, 슬퍼하고, 또 슬퍼하십시오.

눈물을 흘리며 슬픔을 드러내는 것은

삶의 소중한 휴식이 되며,

우리에게 새로운 힘을 불어넣어 줍니다.

슬픔을 드러내는 것은

카타르시스와 위안을 안겨 주며

침착함을 유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슬픔의 끝이 슬픔일 수는 없습니다.

잃어버린 것을 슬퍼하며 울고 난 후에는

아직 남아 있는 것에 감사할 줄도 알아야 합니다.



8. 우리가 정말로 해서는 안 될 일은

자기 자신을 쓸모없는 존재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자신을 쓸모없는 존재라고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그런 생각의 끝에는 우울증이 기다리고 있을 뿐입니다.

쓸모있는 존재가 될 수 있는

자기 나름의 방법을 찾으십시오.



9.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을

용서하는 힘을 기르십시오.

용서는 우리의 삶을 이전의 삶과는

아주 다른 새로운 삶으로 이끌어 줍니다.

용서는 마음을 누그러뜨리고,

억울한 생각을 없애주며, 죄책감을 녹여 줍니다.



10. 파도는 해안에 부딪쳐 사라지지만,

바다는 사라지지 않습니다.

바다의 일부였던 그 물결은

결코 사라지는 것이 아니며

인류의 삶이 계속되는 한

우리는 파도가 아니라

바다의 일부입니다.




모리 슈워츠(Morrie Schwartz)교수는 미국 매사추세츠 월트햄에
있는 브랜다이스 대학에서 35년 동안 사회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1994년 77세 나이에 루 게릭병에 걸려 1995년 11월 4일 세상을
떠났다. 그는 자신의 병을 받아 들이고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
동안 가능한 한 풍요로운 삶을 살기에 노력했다.

목숨이 끝나는 마지막 순간까지 배움에 대한 열정을 버리지
않았으며, 스승으로서의 직분 또한 버리지 않았다.

자신의 죽음을 드러내어 그 과정에서 겪는 온갖 슬픔과 고통을
모든 사람들을 위한 대화의 소재로 기꺼이 내 놓았으며,

말을 더듬고 손발은 움직이지 못하는 처지이면서도
자신의 마지막 모습까지 모든 살아 있는 사람들에게 개인주의와
경쟁만이 최고의 가치로 인정되는 이 시대에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사랑과 연대 의식, 용기와 희망을 전하고자 했던 위대한
스승이었다. 그는 삶을 사랑하였고, 죽음 또한 기꺼이 받아
들였으며, 그의 삶과 죽음은 사람됨의 위엄과 기품을
우리들 마음속에 깊이 새겨 놓았다.(옮김)


카페 이름 : 기독교이단사이비연구
카페 주소 : http://cafe.daum.net/RAACH
카페 소개 : 기독교 이단 사이비 연구 대책 협의회 홈입니다


사진설명- 에반젤리칼교회를 60년 이상 출석해온 할머니 성도- 기독교 박해 시절
순교당한 분들에게 대해 생생하게 증언하고 있다.

  1. 기독교의 본질

    Date2007.08.22 By러시아천사 Views2047
    Read More
  2. 포사이드 선교사

    Date2007.08.21 By러시아천사 Views2749
    Read More
  3. 신기한 원리

    Date2007.08.18 By러시아천사 Views1920
    Read More
  4. 중국에서 인터넷폰없이 전세계 국제전화 한달무제한 통화

    Date2007.08.17 By에버콜 Views1835
    Read More
  5. "피랍자들 고통은 우리 모두의 아픔"

    Date2007.08.10 By이재섭 Views1928
    Read More
  6. 진정한 용기

    Date2007.08.02 By이재섭 Views1878
    Read More
  7. 적응 힘든 아프간 생활

    Date2007.07.31 By이재섭 Views2298
    Read More
  8. 배형규 목사의 죽음에 대해 쓴 글

    Date2007.07.31 By이재섭 Views2014
    Read More
  9. 중국에서 인터넷폰없이 전세계 국제전화 한달무제한 통화

    Date2007.07.30 By에버콜 Views1559
    Read More
  10. 위험지역 선교전략 재점검해야

    Date2007.07.28 By이재섭 Views1835
    Read More
  11. 아프카니스탄 피랍자들 무사귀환을 기원합니다.

    Date2007.07.23 By이재섭 Views2509
    Read More
  12. 총영사 편지- 이르쿠츠크에서 활동할 영사협력원 선정

    Date2007.07.20 By이재섭 Views2598
    Read More
  13. 선교의 대위임령

    Date2007.07.20 By이재섭 Views2787
    Read More
  14. 종교비자 발급을 위한 초청장이 도착했습니다.

    Date2007.07.15 By이재섭 Views2634
    Read More
  15. 누가 힘든 시베리아 이르쿠츠크 땅을 지킬 것인가

    Date2007.07.13 By이재섭 Views1825
    Read More
  16. 선교지 교회 설립의 기초석을 놓읍시다

    Date2007.07.10 By이재섭 Views1841
    Read More
  17. 한국에 와서 선교와 교회 부흥을 배워요

    Date2007.07.09 By이재섭 Views2318
    Read More
  18. 신앙인의 힘- 기도의 비밀

    Date2007.07.06 By이재섭 Views1863
    Read More
  19. 승리의 신앙생활을 위한 조언

    Date2007.07.03 By이재섭 Views1866
    Read More
  20. 러시아 침례교회 세례식(침례식)이 있었습니다.

    Date2007.07.03 By이재섭 Views215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 18 Next
/ 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